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코딩입문
- 세마포어 구현
- 2161번
- C언어 연산자
- 코딩
- 백준 11725
- 백준 10773
- 백준
- C언어 main함수
- 절차지향적 프로그래밍
- 백준 2161
- C언어 기초
- 프로그래밍입문
- 백준 10867번
- 완전 탐색
- 11725
- 프로그래밍 C
- 10773
- 백준 2161 풀이
- 프로그램 기본 구성
- 10867
- C언어 헤더파일
- c언어
- The Producer-Consumer Problem
- 백준 9012번
- 운영체제
- 백준 17219
- 17219번
- 9012번
- C언어 문법
- Today
- Total
Silver
[C언어] 변수와 데이터 타입 본문
변수란?
변수란 무엇일까?
뜻 그대로 "변하는 수"를 의미한다.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자면, 임의의 값을 담을 수 있는 그릇!
프로그래밍 세계에서는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에 붙은 이름" 을 뜻한다.
조금 덧붙이자면, 데이터를 저장할 때는 메모리의 공간을 할당받게 된다.
하지만 이 메모리 공간의 표현은 "0x7ffeefbff410"
이처럼 매번 쓰기 어렵기 때문에, 변수를 사용한다로 이해하면 된다
변수의 선언
int main(void){
int num;
}
int num;이라는 새로운 문장을 볼 수 있다.
이는 num이라는 이름의 변수를 선언한다는 뜻이다!
int: 정수의 저장이 가능한 메모리 공간을 할당
num: 할당된 메모리 공간의 이름을 num이라고 표현
즉 메모리 공간의 이름을 num이라고 표현한다는 의미이다!
변수의 이름을 지어줄 때는, 의미가 있고 사용하는 용도를 파악하기 쉽도록 지어줄수록 좋은 코드가 된다.
또한 변수의 이름을 지어줄 때는 몇 가지 규칙이 있으니, 알아두도록 하자
변수 이름 규칙
1. 변수의 이름은 알파벳, 숫자, 언더바(_)로만 구성된다(언더바 외 특수문자 사용 불가).
2.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3. 변수의 이름은 숫자로 시작할 수 없고, 키워드 또한 변수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
(cf. 키워드란, C언어에서 일반 변수나 함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는 예약어로, 추후 배우겠지만 if, for, while 등이 해당)
4. 이름 사이에 공백을 사용할 수 없다.
다음은 변수 이름으로 사용될 수 없는 예시이다.
int while; // 변수의 이름에 예약어를 사용할 수 없다
int 10japq; // 변수의 이름은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
int Hello World;// 변수의 이름 사이에 공백을 사용할 수 없다
선언된 변수에 값을 저장
int main() {
int num;
num = 20;
}
num이라는 메모리 공간에 20의 값을 저장한다는 의미이다.
변수의 데이터 타입
지금까지는 변수가 무엇이고,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간단하게(?) 알아보았다.
잠깐 요약하자면, 변수는 어떠한 메모리 공간의 이름을 지어준 것이고 여기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데이터를 어떠한 형태로 저장하는가? 이것이 데이터 타입이다.
데이터 타입에는 char, short, int, long, long long의 5가지 기본 (부호 있는) 정수형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3.1425 라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싶다면 float형으로 변수를 선언하면 된다.
'언어 >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언어] 연산자(Operator) (1) | 2024.02.29 |
---|---|
[C언어] 프로그램의 기본 구성 (0) | 2024.02.23 |
프로그래밍 입문, C언어란? (0) | 2024.02.23 |